뮤지컬 그날들 - 보이지 않는 김광석, 들리는 김광석


  대학로뮤지컬센터에서 뮤지컬 그날들을 보았다. 故 김광석이 누구인 줄 잘 모르고 갔지만 나올 때는 여전히 생명력을 가진 채 연주되는 그의 노래를 품고 나왔다. 뮤지컬 그날들은 가수 김광석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내용이다. 공연의 배경은 1992년과 2012년 청와대의 경호실을 오고 갈 뿐이다. 하지만 공연 내내 김광석의 노래가 새롭게 연주된다. 사실 김광석이 생전에 천 번 이상 공연을 했었다는 대학로라는 공간을 빼면 피보호인과 보호인의 사랑을 다룬 이 뮤지컬은 김광석과는 멀어 보인다. 이런 이유로 김광석의 골수 팬이라면 쓴 웃음을 지을 거라 생각했었다. 김광석의 노래를 이용한 중년층 마케팅이 아닌가를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. 하지만 공연 중 1992년과 2012년의 20년 시간의 넘나듦을 이어 주는 것은 바로 김광석의 노래들이다. 아직은 살벌하게 안기부가 활동하던 그 시절과 지금의 시간적 변화를 메워주는 것은 바로 음악이다. 공연 중 대사처럼 음악은 시대와 국경을 초월하여 소통을 하고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것이다.

 

 

  좋은 노래는 시대를 거쳐 두고두고 반복되어 재생된다고 생각했다. 짧은 호흡으로 나오는 노래는 그 만큼 짧은 수명을 가지게 되고 긴 호흡을 가진 노래는 그 만큼 오래 간다 생각했다. 긴 호흡의 노래는 시대와 세대를 초월하여 소통할 수 있구나 하고나 생각했다고 김광석은 공연 중간에 자신의 노래 '사랑했지만'을 새로이 좋아하게 된 이유를 말하였었다. 어느 60대 노인 분께서 그의 노래를 통해 소녀적 감수성을 느낄 수 있으셨다는 이야기를 듣고 난 뒤라고 했다. 김광석의 노래는 그 당시에나 지금이나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짠한 감수성을 돋게 하는 긴 힘과 생명력이 있다. 훌륭한 콘텐츠는 반복되고 확산된다.

 

 

   보다 많은 긴 호흡의 작품들이 나왔으면 한다. 유럽의 오페라처럼 수백 년을 두고 반복되는 작품들이 국내 창작 뮤지컬에도 나왔으면 한다. 국내 뮤지컬은 성악과 노래와 같은 music보다는 배우의 인지도와 스토리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. 둘 사이에 균형과 시너지를 동시에 내는 게 바람직하다고 본다. 뮤지컬 그날들의 경우 몇몇 배우의 노래의 완성도에서 아쉬움이 있었지만 김광석의 노래를 통해 시대를 이으려는 시도가 돋보였다. 공연 중 김광석은 보이지 않지만 그의 노래를 들을 수 있다. 세대를 잇는 연결점이 보인다창작뮤지컬들의 도약이 기대되는 한 해이다.








이 글을 공유하기

댓글